유래시조파 소개항렬표역사 속 인물시제/향사
  본관 신천강씨 역사 > 유래 > 본관
유래
본관
     

신천강씨 본관(本貫)

신천강씨(信川康氏)는 모두 중시조(中始祖)이신 '신성부원군' 휘 지연(之淵)공의 후손임으로 우리 후손들은 그 어른의 봉작을 따라 본관을 신천으로 정하여 쓰기 시작하였다.(신성=신천의 옛 이름) 우리 조상들은 예부터 신천을 중심으로 한 황해도 일원에 정착하여 살면서 그곳의 토성으로서 크게 세를 떨치며 살아왔다.

그 후 곡산, 재령, 안릉, 진주, 충주, 강령 등 여러 별관이 생긴 것은, 곡산의 경우 조선조 현종 10년에 신덕왕후께서 복위되시고 부묘(종묘에 위패를 모심) 되심과 함께 왕후의 아버지 휘 윤성 공과 조부 휘 서 공 고조부 휘 득함 공이 상산부원군으로 추존되시자 그 후손들 중 일부 지파에서 왕후의 탄강하신 지방이며 선조 어른의 봉작인 상산(곡산)을 본관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생겼고, 재령(안릉)의 경우는 휘 지연 공의 8세손 휘 득룡 공이 안릉부원군으로 봉작되시고 후손들이 재령에 모여 살면서 그분의 작호를 따라 안릉 또는 재령으로 본관을 사용하였으며 또는 어떤 선조들이 낙향하여 살면서 후손들이 그 지방의 지명이나 선조의 봉작을 따라 별관으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통신(通信)이 후진하였던 시절에 후손들 간에 소통이 여의치 못함에서 같은 형제간에도 각기 다른 본관을 사용하는 경우도 생기게 되었으나, 지금은 신천, 곡산, 재령, 안릉 외엔 찾아보기가 어렵다. 또한 지금은 같은 조상의 후손들로서 본관이 같아야 한다는 종현들의 총의에 따라 모두 신천으로 통일하여 쓰려고 노력하고 있다. 아무튼 우리나라의 모든 강(康)씨는 같은 조상님의 후손임으로 어떤 본관을 사용하던 같은 조상을 모신 같은 뿌리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본관이란 현재의 본적과 같은 개념으로서 옛날이나 현대나 출신지를 정치적으로 악용해 온 바가 있어 본관이나 본적 제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으며, 실제로 많은 행정 서식이나 인사 서류 등에 본적을 기재치 않도록 하고 있는 바, 본관제도가 본래의 의미와는 크게 퇴색된 이 시대에 별관을 사용하는 후손들도 본래관향(本來貫鄕)인 신천으로 통일하여 쓰도록 하는 것이 문중 단합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